생명의 숲, 계양산을 지켜주세요!
Google
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58)
재테크를 말하고, (206)
세상을 이야기하고, (77)
건물감성을 키우며, (49)
컴퓨터 문제도 해결하고, (10)
가족과 나를 사랑한다. (16)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담보'에 해당되는 글 1건
2008. 12. 14. 16:24
           
WEEKEND기사 12/13

           
   '레버리지 알약' 적당히 드세요

  레버리지가 금융위기를 불렀다면 디레버리지는 2차 후폭풍을 몰고 왔다.
  지난해까지 과도한 차입을 통한 무분별할 투자가 '선(善)'이 되면서 글로벌 경제는 '거품 붕괴'의 막다른 길에 내몰렸다. 그 이면에서는 기존 투자를 대폭 청산하는 디레버리지가 진행되고 있다.
  대형 투자은행(IB)의 레버리지 투자에서 비롯된 미국발 금융위기로 출렁였던 국내 경제는 이제 반대로 외국인의 '셀 코리아'로 몸살을 앓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글로벌 금융 불안정이 지속되면서 디레버리지 현상이 2010년이나 돼야 해소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레버리지에 의한 자산 버블이 꺼지고 이제 본격적인 디레버리지 국면이 시작되는 것일까.



 ◆ 레버리지와 디레버리지
  이론적으로 레버리지(leverage·총자산/자산)는 차입금이나 부채를 의미한다. 기업은 레버리지 비율이 높으면 동일한 영업이익을 가지고도 자기자본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예로 들면 자기자본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예로 들면 자기자금 2억원에다 1억원을 대출받아 3억원짜리 주택을 구입한 사람이 1년 뒤 집값이 1억원 올랐을 경우 종잣돈 대비 투자수익률은 50%가 된다. 만일 주택 구입자금 3억원을 모두 자기자금으로 했다면 수익률은 33%에 그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레버리지의 수익률 증대 효과다.
  레버리지 증가는 자산가치 상승과 맞물려 발생하기도 한다. 레버리지를 이용한 주택 매입 '붐'은 주택 가격 상승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담보물 가치가 상승하면 기존 주택을 담보로 받을 수 있는 대출금 자체를 늘릴 수 있다.
  이런 과정이 피드백을 일으키다 보면 자산 버블이 나타난다. 금융 거래는 레버리지가 훨씬 용이하게 이뤄진다.
  공매와 대차거래, 선물·옵션 등 차익거래가 요구하는 종잣돈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결국 금융자산의 가격 변동은 주택 가격보다 훨씬 빠르게 그리고 크게 발생한다.
  지난 1년간 발생한 주식 및 외환시장 가격변수, 즉 주가와 환율이 급변동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2000년 IT 버블 붕괴 이후 경기 진작을 위해 미국이 채택한 저금리 정책은 레버리지 붐을 일으켰다. 대형 금융회사들은 저금리를 이용해 차입매수(LBO), 파생상품 투자 등에 몰두했다. 가계도 부동산과 주식 투자에 열을 올리면서 전례 없는 부동산·주식 시장 호황기를 맞게 됐다.
  하지만 산이 높으면 골도 깊은 법이다. 경기 변동 주기처럼 레버리지도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게 된다. 이제 반대로 부채를 줄이는 디레버리지가 시작된 것이다.
  2004년 이후 진행된 미국 금리 상승을 계기로 차입 부담증가, 연체율 상승 및 신용리스크 등이 부각되던 끝에 차입 축소 국면이 다가왔고 결국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이제는 실물로까지 전이돼 미국에서는 경기 침체와 더부어 디플레이션 우려마저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외화 유동성 부족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및 건설사 부실 조짐과 같은 신용리스크를 계기로 디레버리지가 시작됐다. 이러한 차입 축소 현상은 레버리지 순환 국면과는 정반대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채무상환 압박에 몰린 담보대출자가 급매물을 내놓으면 주택 가격이 하락한다.
  다시 담보물 가치 하락, 은행 대출 가능 금액 축소, 그리고 채무자의 상환능력 악화로 이어진다. 이에 따른 거래 상대방 위험 증대, 신뢰 붕괴는 모두 현금을 움켜쥐려는 '돈맥경화'를 유발한다. 최근 한국은행이 막대한 자금을 시장에 풀고 있지만 기업에까지 전달되지 않는 유동성 퇴장(hoarding) 현상이다. 향후 자산 가격 하락, 실물거래위축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다.

 ◆ 부작용 막는 게 우선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레버리지가 필수다. 예금을 받아 대출자산으로 운영하는 은행은 그 속성상 레버리지업에 속한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에 따른 국내 은행의 레버리지 비율은 10배 정도다. 투자은행의 레버리지는 그보다 훨씬 높다. 바클레이스, 도이치뱅크, UBS, 리먼브러더스 등 대형 투자은행의 레버리지는 60~30배 정도다. 이런 레버리지 의 결정판은 파생상품 거래에서 나타난다.
  미국 내 신용부도스왑(CDS) 거래액은 주식·채권 시가총액 합계의 두 배이며, AAA등급 채권 거래 규모는 AAA등급 전체 자산 규모를 초과한다.
  이처럼 과도한 레버리지에 의한 공격적인 투자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거품 붕괴에 따른 치명상을 막으려면 레버리지를 일정 폭 제한해야 한다. 거래의 종잣돈을 어느 정도는 보유하도록 해야 한다. 지급준비제도, BIS비율, 담보인정비율(LTV) 및 마진증거금이 바로 이것들이다. 과도한 레버리지를 막는 것은 거래 상대방의 파산에 따른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하지만 비극적인 것은 경기 확장·축소 국면이 사라지지 않듯이 레버리지와 디레버리지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시장이 자율화되고 자본시장마저 개방된 상태에서 미국발 레버리지와 디레버리지로부터 벗어나기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망상이란 것이다. 정부의 역할이 있다면 과도한 레버리지 국면에서는 금리 인상과 유동성 축소 정책을, 반대로 디레버리지 국면에서는 유동성 공급 내지 퇴장을 막는 정책을 통해 그 정도를 조절하는 것뿐이다.

한재준 인하대 글로벌금융학부 교수




-------------------------------------------------------------------------------------------------------------------------------------------------------------------------------




        :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의미로 금융계에서는 차입을 뜻한다. 반대로 디레버리지는 빚을 상환한다는 의미다. 빚을 지렛대로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레버리지는 경기가 호황일 때 효과적인 투자법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금리)으로 자금을 끌어와 수익성 높은 곳에 투자하면 조달비용을 갚고도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기로 자산가치가 폭락하자 빚을 상환하는 것, 즉 디레버리지가 더 급한 일이 됐다. 특히 외국투자자들이 최근 디레버리지에 나서면서 한국 증시와 채권시장에서 자산을 처분하는 바람에 국내 금융회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우리나라의 IMF시절과 비교할수 있다. IMF 당시 엄청난 실업난과 경제난으로 부동산매물은 넘쳐나게 되고 일방적인 공급앞에 수요는 따라오지 못했다. 결국 엄청난 부동산 폭락이 왔고, 정부에서 양도세를 면제하는 등 강도높은 부동산 부양책을 시행하게 된다. 부자들은 헐값의 부동산들을 조금씩 사모으기 시작했고 경기가 조금씩 살아나자 실수요자들의 수요까지 합세하면서 부동산은 금방 과열되기에 이르게 된다. 이 때 강남불패라는 단어가 등장한것이다.

        : 우리나라 은행들은 BIS비율을 10%이상으로 끌어올리다 못해 12%까지 끌어올리려고 요즘 난리지만, 외국계 대형투자은행들은 BIS비율이 약 3%(레버리지 30배의 경우) ~ 1.7%(레버리지 60배의 경우) 수준인 것이다.

        : 주택담보인정비율(LTV) (loan to value ratio : LTV) 주택 담보가치에 따른 대출가능 한도를 뜻하며 LTV 60%라면 시가 3억원짜리 아파트는 최대 1억800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prev"" #1 next